건강라이프/좋은혈관49 혈류개선으로 어깨결림두통, 자율신경이상, 에너지부족 해결가능 혈류를 개선하는 해법 의욕이 나지 않고 무기력할 때가 많고 감기에 자주 걸리고 위장이 약해서 소화가 잘되지 않고, 잘 먹지 못하고 생리통이 심하며 조금 빨리 걷거나 달리면 바로 숨이 차는 경우는 기운이 부족한 유형으로 에너지가 부족해서 피로와 무기력함을 자주 느낍니다.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을 할 때 의욕이 없고 피로감이 있는 것으로 소화기가 기능이 떨어져서 위장이 약하고 입이 짧은 경우가 많아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어서 에너지를 보충해야 합니다.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한다면 아침형 인간으로 생활을 바꾸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햇볕을 쐬면서 피로를 풀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아침에 식사를 챙겨 먹어서 하루 동안 필요한 에너지를 확실하게 충전하고 위장이 약해서 잘 채하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2020. 8. 13. 혈액양이 적으면 에너지부족, 체액부족, 초조함 발생 나이와 관계없이 의욕이 생기지 않고 무기력하며, 만성적인 편두통, 요통처럼 병원에 가도 뚜렷한 원인이 없다면 혈액과 혈관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혈액이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통증과 피로감, 어깨 결림, 냉증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여성은 월경 전 증후군(PMS), 여드름, 건조증 등이 혈액과 많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모세혈관은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며 지구의 두 바퀴 반을 돌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손발이 차가워지고, 피부는 어둡고 칙칙하며 머리카락 숱이 적어지는 이유는 모세혈관이 조금씩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모세혈관은 몸의 말단 부분까지 영양소를 공급하게 되는데 모세혈관.. 2020. 8. 12. 내피세포 바닥판 구조인 혈관과 배대동맥의 구조 혈관의 특징 혈관은 안벽을 덮은 편평한 상피세포인 내피세포와 결합조직으로 구성된 체내 기관의 안쪽에 있는 속막과 민무늬근육층으로 구성되어진 중간막, 결합조직인 바깥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동맥은 중간막이 발달되어 있고, 탄력섬유가 있습니다. 대동맥과 허파동맥, 팔머리동맥을 비롯하여 탄력동맥은 중소동맥과 탄력섬유의 분포가 다르며 정맥은 중간막이 얇고 혈관벽에 탄력이 적으며 판막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근육형동맥인 중소동맥은 내피세포와 바깥쪽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속막이 있고, 내피세포 바로 아래에 콜라겐 막인 바닥판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아래에는 탄력섬유인 내탄력판과 혈관을 고리모양으로 둘러싼 민무늬근육섬유인 중간막이 있는데 수축하면서 혈압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중간막 바로 아래층에는 외.. 2020. 8. 11. 곧창자, 돌창자, 막창자, 잘록창자에서 문맥순환 문맥계통의 위치 위에서 큰창자의 가장 끝부분부터 항문까지의 부위인 곧창자 아랫부분까지의 소화관과 위 옆에 있는 지라, 이자의 정맥이 합쳐져서 문맥이 되고 간으로 흘러갑니다. 문맥은 복부의 소화기와 지리에서 나오는 정맥혈을 모아서 간으로 운반하는 정맥혈관으로 간으로 들어간 문맥을 간문맥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원인으로 간세포가 파괴되고 흉터 조직으로 대치되어 간 조직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 간경변질환이 있다면 문맥에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문맥혈은 곁통로를 이용하여 심장으로 되돌아 흐르게 됩니다. 문맥은 위정맥, 지라정맥, 위/아래에 있는 창자간막정맥 등이 간과 연결되어 있는 혈관입니다. 문맥과 연결되어 있는 위창자간막정맥은 빈창자, 돌창자, 막창자, 오름잘록창자와 가로잘록창자에서 나오는 혈류.. 2020. 8. 10. 순환기계인 림프계와 혈액 (혈장혈구) 영양분과 산소 그리고 필요하지 않은 이산화탄소와 배설물을 운반하는 혈액과 림프액이 있고, 이러한 혈액을 순환시키는 동맥, 정맥, 심장을 순환기계라고 합니다. 순환기계는 크게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나누어집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심장의 우심실에서 동맥의 폐동맥을 거쳐 폐를 지나 정맥의 폐정맥을 통해서 심장의 좌심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폐순환이라고 합니다. 체순환은 산소와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영양분을 운반하고 대사작용으로 생긴 이산화탄소와 필요하지 않은 물질을 내보내는 경로입니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동맥의 대동맥을 지나 몸의 각 기관을 거쳐서 정맥의 대정맥을 지나서 심장의 우심방으로 순환합니다.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가느다란 세동맥과 모세혈관으로 변하여 이산화탄소, 배설물, 산소, 영양분 등이 혈액.. 2020. 8. 9. 림프절염증 그리고 혈액의 고형성분(적혈구백혈구) 혈관과 마찬가지로 림프도 우리 몸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조직액입니다.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혈액이 좌심실에서 동맥으로 흐르고 커다란 동맥은 여러 갈래로 나눠져서 모세혈관이 됩니다. 모세혈관 벽에서 혈액에 있는 산소, 수분, 영양분의 물질이 혈관 밖으로 나가고 혈관 밖에는 조직을 생성하는 세포가 있는데 세포와 세포 사이에 세포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인 세포외액이 흘러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세포외액과 세포 사이에서는 몸 밖에서 섭취한 영양물질을 몸 안에서 분해하고 합성하여 생명활동이나 에너지를 생성하고 필요하지 않은 물질은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물질대사가 이루어집니다. 세포외액 안에 있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 불필요한 수분은 모세혈관으로 들어가고 정맥을 지나서 심장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세포외.. 2020. 8. 8.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