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분과 산소 그리고 필요하지 않은 이산화탄소와 배설물을 운반하는 혈액과 림프액이 있고, 이러한 혈액을 순환시키는 동맥, 정맥, 심장을 순환기계라고 합니다. 순환기계는 크게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나누어집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심장의 우심실에서 동맥의 폐동맥을 거쳐 폐를 지나 정맥의 폐정맥을 통해서 심장의 좌심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폐순환이라고 합니다. 체순환은 산소와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영양분을 운반하고 대사작용으로 생긴 이산화탄소와 필요하지 않은 물질을 내보내는 경로입니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동맥의 대동맥을 지나 몸의 각 기관을 거쳐서 정맥의 대정맥을 지나서 심장의 우심방으로 순환합니다.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가느다란 세동맥과 모세혈관으로 변하여 이산화탄소, 배설물, 산소, 영양분 등이 혈액을 타고 조직과 세포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돕습니다. 이러한 물질은 직경 5~20㎍의 얇은 모세혈관 벽을 투과합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모세혈관이 모여서 세정맥이 되고, 세정맥은 상반신의 상대정맥과 하반신의 하대정맥 이 두 정맥이 각각 우심방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좌심실에서 나오는 대동맥의 혈액은 1개로 상반신에 있는 상대동맥으로 가다가 오름 대동맥과 내림 대동맥 사이에 있는 대동맥활로 유턴하여 대동맥활에서 계속되는 내림 대동맥 중 가슴 안에 있는 흉부대동맥 횡격막을 통과합니다. 그런 복부대동맥이 있는 복강으로 내려가고 두 다리로 갈라져서 골반과 다리에 피를 보내는 동맥인 총장골동맥이 됩니다.
혈액 속에 있는 혈장과 혈청
혈액의 혈장에는 혈청과 피브리노겐이 있는데 혈청에는 물, 단백질, 지질,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혈구에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이 있고 여기서 백혈구에는 림프구, 과립백혈구, 단핵구로 나눠집니다. 혈액에는 혈장, 혈구가 있는데 혈장에는 혈청, 용해성의 혈장단백질로 간에서 합성되고 혈액응고반응에 관여하는 섬유소원(피프리노겐)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혈청은 혈장에서 섬유소를 뺀 나머지로 단백질, 지질, 아미노산, 당,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혈구에는 절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이 있습니다.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호로몬을 운반하여 대사의 균형을 맞추고 세균침투를 막아내는 면역기능이 있습니다. 따뜻한 혈액을 손이나 발 끝에 있는 말초까지 보내면서 체온을 유지합니다. 혈장에는 혈액을 멈추게 하는 응고인자가 있어서 상해를 입었을 때 섬유소인 피프린을 형성하여 지혈을 하고 혈소판이 다친 부위에 모여서 피를 멈추게 하는 지혈작용을 합니다.
혈관 밖으로 혈액성분이 스며 나오는 삼출된 혈장은 세포액이 됩니다. 세포액의 90%는 혈관으로 돌아가고 남은 10%가 림프관으로 흘러가서 말초모세림프관에서 시작하여 콩모양의 림프절을 거쳐서 오른쪽 상반신에 있는 오른림프줄기와 왼쪽가슴관에 있는 왼림프줄기에 모이고 좌우 림프줄기를 각각 속목정맥과 빗장밑 정맥이 만나는 곳인 정맥각에서 정맥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머리 부위에는 귀 근처에 있는 귀밑샘림프절, 머리 뒤통수에 있는 뒤통수림프절, 귀바퀴뒤림프절, 목뒷 편에 얕은목림프절은 뒤통수림프절과 귓바퀴뒤림프절, 귀밑샘림프절에서 림프가 들어오는 곳으로 깊은목림프절로 흐르게 됩니다. 깊은목림프절은 목빗근 뒤쪽과 속목정맥을 따라서 목 위에서 빗장뼈 위쪽으로 퍼지는 림프절, 얼굴과 머리, 어깨의 림프를 모아서 목림프줄기로 흘러갑니다. 팔에는 세모가슴근림프절, 노쪽피부정맥, 자쪽피부정맥, 팔꿈치림프절,손바닥림프그물 그리고 팔의 림프는 겨드랑림프절을 거쳐서 빗장밑림프줄기로 들어갑니다. 다리는 큰두렁정맥 그리고 다리에 있는 림프는 얕은 샅고랑림프절을 지나서 허리림프줄기로 이동하며 넙다리근막 위에 있습니다.
림프관 구간에 있는 콩 모양의 림프절
우리 인체의 온 몸에 펴져 있는 콩 모양의 림프절은 림프관의 일정한 구간에 있는 기관으로 림프액에서 세균, 암세포,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고 면역계를 구성하는 중심세포인 림프구가 많이 생기는 곳입니다. 목, 겨드랑이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종양이 전이되기 쉬운 곳입니다. 림프절을 반으로 잘라서 보면 가장 바깥쪽에서부터 들림프관에서 흘러온 림프가 지나는 길인 가장자리굴이 있고, 피막의 결합조직이 실질속으로 들어온 잔기둥, 겉질, 림프소절, 림프절 1개에 여러개의 들림프관이 있고 여기에는 판막이 있어서 림프액이 역류하는 것을 예방합니다. 림프절의 중심부분인 속질과 날림프관, 종자중심, 속질끈 그리고 림프절의 문혈관과 날림프관이 출입하하는 곳, 속질굴과 중간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몸바깥 부분에 있는 림프에는 머리와 얼굴의 림프가 들어오는 깊은목림프절과 아래에 빗장밑림프절, 가슴부위에 있는 젖샘의 얕은림프절과 복장옆림프절, 복부에 있는 위배벽림프절, 아래배벽림프절, Y존근처에 있는 깊은샅고랑림프절과 얕은샅고랑림프절, 팔 이외의 젖샘림프가 유입되는 겨드랑이림프절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몸 안쪽에도 림프가 있는데 오른쪽에는 머리뼈 속과 얼굴에 있는 정맥을 모아서 팔머리정맥으로 가는 속목정맥, 오른빗장밑림프줄기가 있습니다. 왼쪽에는 왼목림프줄기와 팔의 림프를 모으는 왼빗장밑림프줄기가 있고, 빗장밑정맥, 위대정맥, 갈비뼈사이림프절, 팔머리정맥,가슴림프관팽대에서 생겨서 척추 앞면을 올라가는 굵은 림프관은 가슴림프관과 창자의 림프를 가슴림프관으로 보내는 창자림프줄기, 다리와 골반의 림프를 모으는 오른허리림프줄기와 왼허리림프줄기 그리고 바깥엉덩림프절과 속엉덩림프절이 있습니다.
'건강라이프 > 좋은혈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피세포 바닥판 구조인 혈관과 배대동맥의 구조 (0) | 2020.08.11 |
---|---|
곧창자, 돌창자, 막창자, 잘록창자에서 문맥순환 (0) | 2020.08.10 |
림프절염증 그리고 혈액의 고형성분(적혈구백혈구) (0) | 2020.08.08 |
카페인커피 줄이면 부교감신경활성화 (0) | 2020.08.07 |
복압운동과 다리부종운동, 중력운동, 혈관운동으로 정맥을 건강하게 (0) | 2020.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