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라이프51

세포노화 막고, 사람수명 늘리는 장수비결 시루투인유전자 아침과 점심을 먹고 중간에 간식을 먹기도 하는데 간식을 먹기 적절한 시간은 오후 3시입니다. 지방합성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이 탄수화물 식품으로 과자, 초콜릿, 음료수, 떡, 밥, 과일, 고구마, 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은 양을 줄이고 대사기능을 높일 수 있는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살이 잘 찌지 않게 되고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단백질은 매 끼니마다 섭취를 해야 하는데 이때, 섭취량은 적당량으로 몸에 필요한 만큼만 먹는 것이 핵심입니다. 한국인은 평소에 단백질을 잘 챙겨 먹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데 혼자 밥을 챙겨 먹더라도 단백질이 들어간 고기, 참치, 생선류를 의식적으로 챙겨 먹는 식습관이 필요합니다.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는데 몸에서는 필요한.. 2020. 9. 2.
자면서다이어트, 골흡수로 뼈칼슘 챙기자 사과는 아침에 먹으면 금이라는 말이 있듯이 과일을 아침 시간대에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과일은 과육과 과즙이 많고 단맛이 나면서 향긋한 향이 기분까지 좋게 합니다. 과일이 단맛이 나는 열매이면서도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동맥과 정맥을 비롯해서 모세혈관을 젊고 탱탱하게 유지시켜주는 성분이 가득합니다. 과일 속에 있는 단당류인 과당은 단맛이 있지만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고 분해가 빨라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아침시간에 뇌에 에너지를 충전할 수가 있습니다. 과당과 다르게 아침에 먹는 탄수화물이나 빵처럼 단순한 당이나 가공된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갑자기 높아지고 남은 에너지를 지방으로 바꾸고, 혈액 속의 혈당을 낮추기 위해서 췌장에서는 인슐린을 대량으로 분비하여 포도당을 세포로 운반하며 혈액 .. 2020. 8. 30.
규칙적식사와 운동습관으로 컨디션회복 통증이 있더라도 운동은 필수 건강보험제도가 있는 한국과는 다르게 미국이나 일본은 건강보험제도가 없어서 병에 걸리 입원을 하게 되면 높은 병원비가 발생하게 되어서 미리 질병에 걸리지 않고 예방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서 평소에 몸을 관리하고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한국도 필라테스, 피트니스, PT, 헬스장 등 운동센터가 많이 생기고 있고 건강보험제도와 크게 관계없이도 건강을 지키려는 사람들과 건강해지려는 사람들이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운동을 꾸준하게 하면 몸에 있는 프리라디칼처럼 몸에 좋지 않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손상된 세포는 회복시키는 능력이 높아집니다. 운동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좀 더 건강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능력이 있고 바쁜 사람일수.. 2020. 8. 29.
복횡근운동, 복사근운동으로 허리라인을 예쁘게 복식호흡으로 내장 마사지하기 코어운동에 관한 책이 나오기도 하고 필라테스 운동을 배우러 가더라도 코어운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코어근육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복부의 코어 근육 운동을 하면 소화기관에도 분포하고 있는 모세혈관의 수를 늘릴 수 있고, 위장과 간과 창자의 움직임을 좋게 해서 정상적의 위의 위치보다 아래로 처지는 위하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복근운동을 하면 몸속 소화기관과 조직을 보호하고 약해진 허리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남성과 여성 성별과 관계없이 허리를 다듬어주면서 속근육은 탄탄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복부의 앞면을 운동하는 동작은 많이 하지만 복부 옆구리에 있는 복사근과 배의 양옆에서 층을 이루고 있는 넓은 근육인 복횡근도 함께 운동을 해야 균형잡힌 복근.. 2020. 8. 28.
뇌하수체전엽 분비되어 단백질합성하는 성장호로몬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필요한 열량을 기초대사량이라고 하며 호흡, 심장박동, 체온 유지 등의 기본적인 생명활동에 쓰이는 에너지양으로 몸을 움직이지 않더라고 휴식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기초대사량을 사용하게 됩니다.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 중에서 60~70%는 근육에서 소모되며 근육이 1kg만 증가하더라도 기초대사량은 50kcal 높아지게 됩니다. 몸의 근육 중에서 70% 이상은 하반신에 있어서 다리 근육을 키울수록 기초대사량이 늘어나게 되어서 열량을 더 많이 소모하게 되면서 열량을 많이 먹더라도 살이 잘 찌지 않는 좋은 현상이 반복되게 됩니다. 정리하면 다리운동을 해서 하체비만을 해소하고 근육은 증가하여 기초대사량이 늘어나면서 체력에 힘이 생기고 몸은 탄탄해지며 탄력 있고 건강한 생활을 해나갈 .. 2020. 8. 27.
산소공급 받는 유산소운동과 허벅지종아리, 하체근육운동으로 젊어지자 근육에 고르게 운동을 하면서 부담을 주지 않는 운동을 예로 들면 수영입니다. 수영은 물에서 팔과 다리를 이용하여 헤엄치는 활동으로 유산소 운동인 것 같지만 수영은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 2가지를 함께 하는 운동이라서 모세혈관의 수를 늘리는데 유용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산소운동은 힘들고 숨이 차서 오랫동안 하지 못하는 강도가 강한 운동으로 에어로빅처럼 숨이 차고 힘든 것으로 이러한 운동은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게 되면서 몸에서 젖산을 생성하게 되며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젖산이 많아지면 간과 근육세포에 단기적으로 에너지 저장을 하는 글리코겐을 다 쓰게 되면서 근육수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소멸되면서 운동 후에 몸이 피로하게 되는데 이럴 때는 운동을 더 이상 하지 않거나 운동 강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 2020. 8. 26.